본문 바로가기

교육 education/발달, 심리21

수면장애(불면증, 발작수면, 무호흡증)와 숙면을 위한 방법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함으로써 일상적 기능에 만성적인 손상이 있을 경우 수면장애로 진단될 수 있다. 수면장애의 유형 불면증 수면을 시작하거나 수면을 유지하는 데의 만성적 어려움 혹은 활력이나 각성을 재충전하지 못하는 잠을 자는 것 50%에 이르는 많은 성인이 생애의 어느 시점에 특히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는 더 자주 불면증을 겪는다 발작 수면 발작 수면을 가진 사람은 불가항력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졸림의 공격에 시달리고 편지를 쓰거나 자동차를 운전하거나 대화하는 동안에도 금방 수면에 빠지고 만다 본질적으로 발작 수면은 REM 수면이 낮 동안 일어나는 것이다 발작 수면 동안 환자는 매우 빠르게 REM상태에 들어가는데, 이것이 너무 신속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눕기도 전에 근육 통제를 상실하게 된다 발작 수.. 2022. 12. 20.
자기존중감, 정체감 발달 학령 초기 아동은 자신을 타인과 비교하기도 하지만, 더 어렸을 때의 자기와 현재의 자기를 더 자주 비교하면서 키가 더 커졌고, 힘이 더 세어졌고, 몸이 더 커졌다고 말한다. 이들은 어떤 과제에서 실패하면 실망할 수 있지만, 그 실패가 반드시 전반적인 자기 인식에 지속해서 부정적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학령 중기(대략 8~12세) 아동은 자신과 자신이 지닌 기술을 타인과 많이 비교하게 되는데, 이런 사회 비교가 아동의 자기 존중감에 영향을 주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축구팀에 소속된 한 아동이 자신은 팀에 있는 다른 친구들만큼 공을 멀리 차지 못하거나 빨리 달릴 수 없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자신은 친구들만큼 훌륭한 선수가 아니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아동의 자기 존중감은 종종 영역 한정적이다. 예를 들어 .. 2022. 12. 17.
아이의 성격은 부모를 닮았을까? (순한, 까다로운, 더딘 기질과 애착) 많은 부모는 둘째 아이가 첫째 아이와 아주 다른 성격을 갖고 있다는 데 종종 놀랄 때가 있다 어떤 아이는 많이 우는가 하면, 어떤 아이는 별로 울지 않는다. 어떤 아이는 조용하게 기저귀를 갈고 목욕하는가 하면, 어떤 아이는 발로 차고 몸부림친다. 어떤 아이는 안아 주는 것을 좋아하고 안아 주는 사람에게 더 찰싹 달라붙지만, 어떤 아이는 뻣뻣해지고 고함을 지른다. 이러한 기분과 관련된 성격특성을 "기질"이라 한다. 순한 기질 - 즐겁게 놀고, 규칙적으로 잠을 자고 먹으며, 새로운 상황에 쉽게 적응하는 영아 까다로운 기질 - 안절부절못하며, 잠자고 먹는 것이 불규칙하고, 새로운 상황에 강렬하게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영아 더딘 기질 - 비교적 반응이 없고, 새로운 상황에서 약간의 위축을 보이며, 새로운 상황에 .. 2022.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