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격2

성격에도 개수가 있다 ? Big 5 성격의 개념화와 측정 성격은 개인이 물리적,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사고, 정서, 행동의 고유하고 특징적인 양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어떤 개인의 성격을 말해 보라고 하면 우리는 외향적이다, 성실하다 등과 같은 성격 특질을 지칭하는 용어를 사용하기 십상이다. 성격심리학자는 일반인이 성격 특질이라고 생각하는 엄청나게 많은 용어를 성격의 다양성을 망라하면서도 적절하게 다룰 수 있는 세트로 단축하려고 시도한다. 성격을 포괄적으로 서술하면서도 다룰 수 있을 정도의 개수를 지닌 특질을 추출하는 작업은 사전을 찾아보는 작업에서부터 시작한다. 이런 작업에는 언어가 일상생활에서 보이는 개인들 간의 중요한 차이를 잘 그려 낼 것이라는 가정이 깔려있다. 언어는 그 문화의 누적된 경험을 내포하고, 사전은.. 2023. 1. 26.
아이의 성격은 부모를 닮았을까? (순한, 까다로운, 더딘 기질과 애착) 많은 부모는 둘째 아이가 첫째 아이와 아주 다른 성격을 갖고 있다는 데 종종 놀랄 때가 있다 어떤 아이는 많이 우는가 하면, 어떤 아이는 별로 울지 않는다. 어떤 아이는 조용하게 기저귀를 갈고 목욕하는가 하면, 어떤 아이는 발로 차고 몸부림친다. 어떤 아이는 안아 주는 것을 좋아하고 안아 주는 사람에게 더 찰싹 달라붙지만, 어떤 아이는 뻣뻣해지고 고함을 지른다. 이러한 기분과 관련된 성격특성을 "기질"이라 한다. 순한 기질 - 즐겁게 놀고, 규칙적으로 잠을 자고 먹으며, 새로운 상황에 쉽게 적응하는 영아 까다로운 기질 - 안절부절못하며, 잠자고 먹는 것이 불규칙하고, 새로운 상황에 강렬하게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영아 더딘 기질 - 비교적 반응이 없고, 새로운 상황에서 약간의 위축을 보이며, 새로운 상황에 .. 2022. 12. 9.